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웨딩밴드
- ORA-65096
- 종로예물
- 포맷
- 웨딩링
- ServerTimeZone
- WINDOWS10
- 당근마켓
- DATABASE
- Windows 10
- cloud outbound mailer
- java
- ora-00984
- G1diamond
- Oracle
- 종로다이아반지
- 지원다이아몬드
- oracle db
- naver cloud platform
- pom.xml
- NAVER SMS
- 허먼밀러
- SpringMVC
- 스프링 프레임 워크
- SENS API
- Spring
- G1다이아몬드
- 윈도우10
- PKIX
- NAVER API
- Today
- Total
더 나은 개발자가 되고싶다..
01. 안드로이드 기초 개념 정리 본문
오늘부터 안드로이드 개발 공부를 시작을 했습니다.
오늘부터 블로그에 제가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 함께 공부를 시작할 누군가에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제 요약 노트 이기도 합니다.
* 제 글은 YouTube 겜팔이님의 영상을 보고 공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정리는 여기서 발췌한 것입니다.
안드로이드 기초부터 공부하실 분들은 겜팔이님의 영상을 보시고 함께 하면 좋겠습니다.
강의 중간중간에 드립도 치시고 재미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user/seokceed
Android에는 크게 3가지의 대장과 1가지의 원수가 존재한다.
-------3대장------
1. ContentProvider
2. Service
3. BroadcastReceiver
-------1원수------
Activity
그리고
intent
intent란?
intent는 우편 배달부라고 보면 편하다.
1. Activity <--> Activity 간의 연결
2. App <--> App 간의 연결
3. String, Array, int 등 여러가지의 타입도 첨부가 가능하다.
intent는 크게 명시적intent, 암묵적 intent 이 두가지로 나뉘는데
명시적 intent (보내는 이와 받는 이가 지정됨)
Intent intent = new intent(this, new Activity.class);
startActivity(intent);
명시적 intent의 예제이다.
먼저 intent 객체를 생성을 해준다. 그다음 생성자 변수에 this, new Activity.class 두가지가 들어가는데
여기서 this는 intent가 실행될 현재 Activity를 지칭하고 new Activity.class 는 실행이 됬을때 받을 Activity 클래스 자체를 지정한다.
그후에 startActivity()에 intent를 넣어서 실행하는 부분을 볼 수있다.
이를 실행하면 내가 지정한 Activity가 정확하게 실행이된다.
하지만 암묵적 intent는
암묵적 intent (해당되면 전부 호출한다 App <->App 많이 쓰임)
Intent intent = new Intent();
intent.setAction(Intent.ACTION_CALL);
startAction(intent);
intent 객체를 생성하는 부분에서 생성자 변수를 넣어주지 않고
다음라인에서 intent.setAction() 부분에서 실행할 행위? 를 넣어준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해당 요청을 실행할 수 있는 App들이 전부 표시된다.
아래 사진같은 경우를 많이 봤을 것이다.
해당 사진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를 모두 보여준 것인데
이것이 암묵적 intent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예이다.
Activity
1. 안드로이드에서 가장 중요한 Class
2. 생명 주기(Life Cycle)를 가지고 있다. (생명 주기는 암기하는것을 추천한다)
3. onCreate()에서 Activity 작성을 시작하자!
Activity의 내용은 추후에도 계속 다룰 것이기 때문에 우선은 이렇게 간단하게 알고있자.
(생명주기는 반드시 찾아서 암기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View
1. 화면 그 자체
2. Activity에 씌우는 화면 껍데기
3. XML, java 둘중 하나로 작성이 가능
4. 보통 Widget, Adapter, Layout 개열로 나눌 수 있다.
(나눈 기준은 유튜버 겜팔이 님이 본인이 나누었다고 강의에서 말씀하셧습니다.)
Widget
- TextView, ImageView 등 사용자와 작용하는 용도가 뚜렷함.
Adapter
- ListView, GridView, RecycleView 등 많은 정보를 길게 스크롤 하여 나타낼때 사용.
Layout
- LinearLayout, RelativeLayout, FrameLayout 등 Widget, Adapter, Layout을 담을 수 있는 큰 틀
- 화면 공간을 배분할 때 많이 쓰인다.
XML
Web 개발을 주로 하는 나는 XML파일의 형식이 익숙하다.
XML은 간단하게
<!--1번 -->
<view>
</view>
<!--2번 -->
<view />
과 같은 태그 형식의 코드이다.
사이즈 조절 부분에서 match_parent, wrap_content 가 있다.
match_parent : 부모 만큼의 크기에 맞춘다.
wrap_content : 자식(들) 만큼 맞춘다.
이것은 추후에 실행 사진과 함께 다시 다뤄 보도록 하겠다.
금일 학습한 이론적인 내용은 여기 까지입니다. 이론 적인 부분도 중요하지만 코딩 실습을 주로 하기때문에 내용이 많이 부실 할 수 있습니다.
제 글은 참고용으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틀린부분은 언제든지 댓글을 달아주시면 수정 하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을 봐주실 누군가 정말로 감사합니다.